냉무

교수님 모든 분들의 교육과 연구에는 성취감과 보람, 그리고 집안에는 행복과 평안이 충만하시길 기원합니다. 제34대 교수협의회 회장인 조철원입니다.

많이 부족한 제가 교수님들의 성원과 지지로 서울대학교의 변화와 도약을 추진할 수 있는 교수협의회 회장이 된 지 3년여가 되어 갑니다. 이런 커다란 기회를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현재의 교협을 만드는데 헌신하신 전임 회장, 임원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교수협의회를 맡게 된 것은 저에게는 한없이 영광스러운 일이었지만 회장선거 투표결과를 받은 그 다음 날부터 무거운 책임과 중압감을 느끼며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제 임기 중에 많은 일들이 있었으나 무엇보다 교협이 평교수님들의 권익보호와 대학발전을 위해 내는 목소리에 서울대학교 교수노동조합(이하, 교수조합) 설립이 어우러져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는 점이 가장 큰 변화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가 이루어진 계기가 된 것이 각 단과대학 교협 회장님들께서 저에게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가능하게 된 교수노동조합의 설립을 맡기신 것이었습니다. 회장님들의 현명하신 판단에 감사드리며 여러가지 고비와 대내외적인 많은 오해가 있긴 했으나, 교협 회원님들의 전폭적인 지지에 힘입어 어느덧 교수조합에 가입한 조합원 수가 700명에 다가서는 등 제자리를 잡으면서 교협 또한 도약의 토대를 구축한 것 같습니다.

이 모두가 대학과 교육자의 가치를 소중히 하시는 교수님들의 정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되어 새삼 마음을 다잡고 있습니다. 앞으로 교협은 평교수님들의 여론을 수렴하는 언론기구로, 그리고 조합은 법적권한을 가진 정의로운 이익단체로서 그 소임을 다하도록 가꾸고 육성할 것입니다. 여태껏 선배회장님들께서 쌓아놓으신 교협의 귀한 전통이 저로 인해서 훼손되지 않았을까 걱정도 됩니다만, 그동안 교협에서 헌신하신 선배교수님들께서 제시하신 방향을 마음에 새기면서 더 낫고 반듯한 교수사회를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안타깝게도 지금 서울대학교는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교수사회의 자존심이 바닥에 떨어졌습니다. 행정 만능주의에 따른 관료화에 시달리면서 품위있는 학자나 교육자가 아닌 수동적 직장인으로서 대우받곤 합니다. 그 사이 대학본부와 단과대학, 교수와 학생, 그리고 직원 간 갈등이 심화된 것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교수들은 허울뿐인 특권층으로 오해받으며, 어느 누구도 교원의 권익 및 처우를 챙기지 않고, 대학 환경개선의 절실함을 애써 외면하는 것이 지금 우리의 자화상입니다.

그래서 저는 34대 교협의 핵심 과제를 ‘지식공동체로서 참 대학의 가치실현을 위한 변화의 모색’으로 정했고, 이를 위해 평교수 한분 한분의 소중한 의견을 듣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미흡한 점은 많지만, 학내 여러 이슈에 대한 목소리를 냈고, 그 중 일부는 대학정책 및 행정에 반영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노력할 것이고, 모든 교원이 제대로 존중받는 대학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사람을 소중히 하는 서울대를 만들어야 하며, 이러한 서울대의 모습이 우리 대학을 바라보는 사회의 눈길을 보다 따뜻하게 바꿀 것으로 믿고 있습니다.

이제 더 이상, 교협은 임의단체나 이익단체로 폄훼받지 않습니다. 대학본부와 대등한 파트너로서 견제 및 협조관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으며, 평교수들의 권익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봉사하는 협의체로서의 위상을 구축한 것이 제 임기 중 가장 보람된 일로 여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이 너무도 많고, 지금까지 이룬 일에 만족하고 있을 수도, 있어서도 안됩니다. 많은 교수님들께서 교협에 더욱 더 커다란 자기발전의 노력을 주문하고 계시다는 점, 그리고 우리대학이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뼈를 깎는 개혁과 쇄신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런 점들을 명심하고 품격있는 교협활동을 위해 모든 교수님들의 뜻을 계속 모을 것입니다.

부족함이 많지만 많은 성원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3대 교수조합 위원장으로 7월 6일부터 임기를 시작한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임정묵입니다.

앞으로 교수님들의 교육과 연구환경을 개선하고 후생복지를 포함한 처우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교수조합은 창립 이래로 초대위원장 조철원 교수님과 부위원장 이영섭 교수님 이하 집행부 교수님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공익적 노조’라는 커다란 기치를 세우며 출범했습니다. 그 결과, 교수조합에 가입한 교수님은 전체 교원의 30%가 넘는 713명에 이르렀으며 서울대 교원의 권익과 처우향상, 그리고 대학의 개혁과 국가 교육제도의 혁신을 요구하는 법적 단체로서 명실상부한 위상을 확립할 수 있었습니다. 2021년도에는 최초의 단체교섭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여 대학의 변화와 혁신을 주도할 수 있게 되었고, 매년 진행되는 임금 및 단체협상을 통해 서울대학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실질적 조치를 주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교수조합은 교원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을 대학본부와의 협상을 통해 실현시키는 법적 권한을 가진 교섭단체입니다. 한편, 교수회는 서울대 모든 교수님이 회원인 여론기구이자 정책제안 단체입니다. 교수회의 회장으로서 교수조합 위원장을 겸임하고 있는 저는 회장 취임 이후 교수회와 교수조합의 집행부를 별도로 구성하여 양 단체의 전문성 및 차별성 강화, 그리고 인적자원 확충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양 집행부는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대학발전의 시너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저와 함께하고 있는 양 기관의 집행부와 산하위원회 간부들은 전 집행부에서 경험을 쌓으신 분들로 대학본부에 합리적인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집행부 구성만으로 교수조합을 열린조직으로 운영할 수는 없습니다. 보다 넓고 큰 교수조합을 만들기 위해 저는 대의원회를 보다 활성화할 것 이며 조합에 가입하신 유능한 교수님들이 교수조합 운영에 활발하게 참여하실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것 입니다. 개방적인 교수조합 운영과 역동적이고 신선한 조합 운영은 지속가능한 전문성 확보와 어우러져 서울대학의 미래를 책임질 교원들의 근무환경과 처우를 개선할 원동력으로 작용 할 것 입니다.

저는 교수조합에 가입하신 교수님이 부르시면 언제든 찾아뵙고 평교수님들의 어려운 점을 경청하고 해결에 노력할 것 입니다. 그러면서 평교수님들이 정당한 대우를 받으실 수 있도록 2021년부터 시작한 단체 및 임금협상의 지향점을 확실히 설정하고 우리대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조합원인 교수님들의 만족은 물론 국가와 사회가 이해할 수 있는 교섭결과를 만들어 낼 것 입니다. 고충처리위원회를 활성화 시키고 장기적인 임단협의 가이드라인을 준비하여 우리 교수님들의 처우가 체계적으로 향상될 수 있고 권익이 보호되도록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교수회와 교수조합은 행정조직과는 달리, 평교수님들이 원하시는 참신한 제도나 환경이 대학 정책에 반영되도록 순발력 있게 활동할 수 있습니다. 유능한 학문 후속세대가 서울대학의 교원으로서 긍지를 가지고 교육과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그래서 우리나라 고등교육이 서울대의 혁신을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저는 혼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성명 소속대학(원) 학과(부)
위원장 임정묵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부위원장 임호준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사무총장 노상호 치의학대학원 구강생화학교실
감사 최윤영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이정상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정보위원회 고희정 인문대학 언어학과
노상호 치의학대학원 구강생화학교실
박정호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박용성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2022년 4월

제 35대 서울대학교 교수회 회장

임 정 묵올림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 제35대 교수회 회장으로서 봉사할 임정묵 입니다.

교수님들의 전폭적인 지지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서울대학교교수회 회장이 가진 무거운 소임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교수님들께서 이번에 저에게 교수회 회장이라는 중책을 맡기신 것은 서울대학교를 미래지향적인 교육기관으로 만드는 데 반드시 필요한 평교수님들의 고견을 모으고 이를 대변하라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번에 저를 지지하지 않으신 교수님들로부터는 품위와 화합을 중시하는 교수회 활동을 요구하는 마음도 읽을 수 있었습니다. 저는 모든 분들의 마음을 헤아려 교수회를 현명하게 운영하겠습니다.

저는 평교수님들의 의견을 받들고 교수님들의 권위를 지키기 위해 헌신할 분들로 집행부를 구성하겠습니다. 또한 총장님 이하 대학본부의 보직교수님들, 이사회와 평의원회, 각 대학 및 대학원, 학내·외 전문가들 및 모든 학내 구성원들과 긴밀하게 소통하겠습니다. 저는 전임 회장님들과 마찬가지로 교수회의 전통을 지키되 개방과 혁신을 추구하며 항상 열린 자세를 유지하겠습니다. 교수조합이 교원의 근무환경과 처우를 개선하는 데 주력한다면 교수회는 서울대의 위상과 교원의 품위, 그리고 명예를 지키는 역할에 충실할 것 입니다.

교수회는 교수님들을 위해 봉사하는 단체입니다. 저는 회장으로서 모든 교수님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를 귀 기울여 듣고, 교수님들이 긍지를 가지고 교육과 연구에 매진하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을 보태겠습니다. 우리는 관악, 연건, 평창, 시흥 캠퍼스에서 각자 다른 학문 분야에 종사하고 있지만 서울대학교의 발전과 이를 통한 사회적 기여라는 대의 앞에서는 한 뜻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서울대 발전의 원동력이 교수님들께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교협이 교수님 한 분 한 분께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인사말

·교수회·인사말
존경하는 교수님들께 존경하는 교수님들께
교수님과 함께 더 나은 대학을 만들겠습니다.

임정묵, 제 36대 회장 서울대학교교수회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다시 한번 교수회 회장의 임기를 시작하게 된 임정묵입니다. 외람됨을 무릅쓰고 재출마를 했지만 천 명이 넘는 교수님들께서 지지해 주셔서 감사할 따름이며 이에 따른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교수님들의 기대에 부응하려면 지난 임기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여드려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대학과 나라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깊이 고민하겠으며, 가장 먼저 서울대의 명예와 긍지를 지키면서 따뜻한 학문 공동체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교수회장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교수님들이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시도록 돕는 것입니다. 저는 지위나 존재감을 드러내기보다 조력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할 것입니다. 총장과 보직교수들이 맡은 바 책무를 다하실 수 있게 지원하고, 평교수님들이 대학과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이끄는 최고 지성인으로서 자부심을 가지실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할 것입니다. 서울대가 겨레와 민족의 대학으로 맡은 바 소임을 다하고 국민과 더욱 가까워지도록, 필요할 때 사회에 올바른 목소리를 계속 내겠습니다.

교수회장 선출과정에서 저는 교수님께 다음과 같은 약속을 드렸습니다.
첫째, 교수님 개개인을 더욱 세심하게 챙기겠다.
둘째, 교수회와 교수조합의 차별성을 유지하면서도 긴밀히 협력하겠다.
셋째, 공정하고 정의로운 대학 환경을 조성하겠다.
넷째, 서울대의 공익성을 강화하는 데 힘쓰겠다.
이러한 목표들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만큼, 끈기있고 차분하게 변화를 이끌어가겠습니다.

무엇보다 교수님들의 권익 보호와 고충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교수조합과 협력하여 어려움에 처한 교수님들의 변론권을 보장하고, 교수회의 법률 자문 시스템을 정비·보완 하겠습니다. 교수님들의 정당한 권리 보호를 위해 본부의 관련 부서와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우리 사회가 누적된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모두가 힘을 모아 오랫동안 고착된 서열화를 완화하고 미래지향적인 교육제도를 새롭게 구축해야 합니다. 고등교육의 선도 대학인 서울대가 이 변화에 앞장서야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교수님들의 용기와 공동체에 대한 애정이 절실합니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잠재력과 재능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입시제도를 서둘러 도입해야 합니다. 한층 높은 수준의 교육과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해 교수·학생·직원에 대한 직접 지원을 강화하며, 재정 운영의 투명성과 개방성 확대를 통해 대학 운영 체계도 시급히 정비해야 합니다. 저는 서울대가 가진 학문적 다양성과 수월성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교육 개혁과 서울대의 발전을 추진하자고 대학과 사회에 계속 제안할 것입니다.

객관적인 총장 중간평가를 실시하고, 공정한 차기 총장 선출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입니다. 취임 즉시 중간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를 진행하고, 결과에 따른 교수님들의 우려와 기대를 총장님께 전달하겠습니다. 교수님들의 복지 향상을 위해 교수조합과 협력하는 동시에 자체적인 복지 확충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소통과 정보 교류의 활성화와 직관성 확대를 위해 교협뉴스레터를 교수회 카드뉴스로 개편하여 운영하겠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교수님 한 분 한 분의 의견이 중요한 시기입니다. 저는 교수님들과 함께 교수회의 활동을 이끌어 가겠습니다. 열린 교수회를 통해 모두가 함께 발전하고, 서울대인으로서의 자부심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교수님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 그리고 건설적인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Together, We Will Build a Better University

Jeong Mook Lim, the 36th Chair of SNU Faculty Council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Dear Professors,

I am honored to begin another term as Chair of the Faculty Council, having received support from nearly 1,100 professors. I deeply appreciate your trust and feel a great sense of responsibility. To meet your expectations, I must do even better than in my previous term. I will carefully consider what is best for our university and nation, and my top priority will be to uphold the honor and integrit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le fostering a warm and inclusive academic community.

The most important role of the Faculty Council Chair is to support professors so they can focus on teaching and research. Rather than seeking recognition, I will serve as a facilitator. I will help the president and administrative faculty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nd create an environment where all professors can take pride in leading academic and societal progress. I will also ensure that SNU continues to serve the public and remains a strong voice for truth and justice.

During the election process, I made the following promises to you:
· To support each professor with care and attention.
· To maintain the unique roles of the Faculty Council and the Faculty Union while strengthening cooperation.
· To promote fairness and justice within the university.
· To enhance SNU’s commitment to the public good.

Achieving these goals takes time and effort and I will work persistently and steadily to bring about meaningful change.

Above all, I will prioritize protecting faculty rights and addressing your concerns. In collaboration with SNU Faculty Union, I will ensure that professors facing difficulties receive legal support and will refine the Faculty Council’s legal advisory system. I will also work closely with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to safeguard your rights.

To solve long-standing challenges and move forward as a society, we must work together to break rigid hierarchies and establish a future-oriented education system. As Korea’s leading university, SNU must take the initiative in this transformation. Creating a new education paradigm that aligns with public expectations requires courage and a strong sense of community from all of us. We must urgently introduce an admissions system that fairly evaluates students’ diverse talents and potential. Additionally, we need to enhance direct support for faculty, students, and staff to improve our academic and research environment. We must also reform university operations by increasing financial transparency and openness. With SNU’s academic excellence and diversity as our foundation, I will continue to propose sustainable educational reforms and innovations.

Another key task is to establish a fair and transparent system for evaluating the university president. Immediately upon taking office, I will form an independent evaluation committee to conduct an objective mid-term review and communicate faculty concerns and expectations to the president. At the same time, I will collaborate with the Faculty Union to improve faculty welfare while also launching our own welfare initiatives.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 will restructure the Faculty Council newsletter into a more accessible format.

Now more than ever, each professor’s voice matters. I will lead the Faculty Council together with you, ensuring that we all grow together and take pride in being part of SNU. I sincerely ask for your continued interest, support, and constructive advice.

Thank you.